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원 (1945년-195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원 (1945년-1953년)은 일제강점기 이후 한반도 분단과 함께 조선 엔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대한민국의 통화이다. 1945년 도입 당시에는 일본 엔과 고정 환율을 가졌으며, 이후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한국 전쟁 말기에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으며 평가 절하되었고, 이후 대한민국 환으로 대체되었다. 조선은행과 한국은행에서 지폐가 발행되었으며, 100원, 500원, 1000원 권 등이 존재했다. 이 시기에는 동전이 발행되지 않았고, 1 센 동전이 소액 거래에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대한민국 - 조선인민공화국
    조선인민공화국은 1945년 건국준비위원회가 선포한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로, 자주 독립과 사회주의적 경제, 진보적 사회 정책을 지향했으나 미군정의 부정과 탄압, 임시정부 인사들의 거부로 해체되어 남북 분단에 영향을 미쳤다.
  • 1945년 대한민국 - 맥아더 포고령
    맥아더 포고령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맥아더가 한반도 38선 이남에 미군정을 실시하며 발표한 법령으로, 미군 사령관에게 행정 권한을 부여하고 영어를 공용어로 지정하는 등 미군정의 통치 기반을 마련했으나, 조선총독부 체제 유지,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 해산, 친일 잔재 청산 실패 등의 논란을 야기하며 미군정의 성격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원 (통화) - 조선 엔
    조선 엔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사용된 통화로, 일본 엔과 동일한 가치를 가졌으며 조선은행권으로 발행되었고, 이는 일제의 경제 수탈과 문화 침탈의 역사를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된다.
  • 원 (통화) - 대한민국 원
    대한민국 원(₩, KRW)은 대한민국의 공식 통화로, 100전으로 세분되며 여러 차례 통화 개혁을 거쳐 현재의 지폐와 동전이 유통되고, 1997년 이후 완전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제사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경제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하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수출 주도형 경제 정책,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교육 투자 등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저성장, 고령화, 사회 불평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대한민국 원 (1945년-1953년)
통화 정보
현지 이름대한민국 원
현지 이름 (한자)大韓民國 圓
사용 국가미국의 통제하에 있던 한국 (1945-1948)
대한민국
보조 단위 비율1/100
보조 단위 이름전 (錢)
복수형 존재 여부아니오
고정 통화미국 달러
기호없음, 한자 圓가 들어가 있음
사용 지폐5, 10, 20, 50전, 1, 5, 10, 100, 500, 1000원
사용 주화일본 1전
발행 기관조선은행 (1945년 ~ 1950년)
한국은행 (1950년 ~ 1953년)
발행 기관 웹사이트www.bok.or.kr
조폐국일본 재무성 (~1951년)
한국조폐공사 (1951년~)
조폐국 웹사이트www.komsco.com
폐지 여부

2. 어원

'원'은 중국 위안과 일본 엔의 동족어이다. 원은 100전(錢;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chŏn'';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jeon'')으로 세분되었다.

3. 역사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한반도 분단 이후, 원이 조선 엔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최초의 지폐는 1950년까지 조선은행에서 발행되었으며, 이후 통화 관리는 한국은행으로 이관되었다.[1]

1945년 원이 도입되었을 당시에는 일본 엔과 1:1 비율의 고정 환율을 가졌다. 같은 해 10월에는 기준 통화가 미국 달러로 변경되어 15원 = 1달러의 비율을 가졌다. 한국 전쟁 말기에는 원화가 크게 평가 절하되어 6000원 = 1달러의 비율을 기록했다.[1] 이후 새로운 통화인 이 도입되었으며, 그 비율은 1환 = 100원이었다.

3. 1. 화폐

앞면뒷면액면가
100 원
500 원
1000 원



대한민국 원 (1945년-1953년)은 100원권, 500원권, 1000원권 지폐로 발행되었다.

3. 1. 1. 조선은행 발행 지폐

조선은행은 일본 강점기의 구권과 디자인이 유사한 지폐를 발행했다. 그러나 두 가지 미묘하고 중요한 차이점이 있었다. 새 지폐는 일본 정부의 문장인 오동나무를 대한민국 국화인 무궁화로 대체했고, 일본 엔과의 교환 가능성에 대한 조항을 삭제했다.

조선은행 발행 지폐
액면가
5전
10전
20전
50전
1원
5원
10원
100원


3. 1. 2. 한국은행 발행 지폐

1950년 6월 12일 한국은행이 설립되어 조선은행의 업무를 인수했다. 그러나 조선은행권은 한국은행권으로 완전히 대체되지 않고 계속 유통되었다.[1]

한국은행 발행 지폐
사진액면가크기주 색상설명발행일인쇄소
앞면뒷면앞면뒷면폐지일
----100원158mm × 78mm갈색광화문액면가1950년 7월 22일1953년 2월 17일일본 국립 인쇄국 (일본)
----500원145mm × 61mm파란색이승만서울 탑골공원1952년 10월 10일KOMSEP
----1000원171mm × 78mm녹색액면가1950년 7월 22일일본 국립 인쇄국
----145mm × 61mm파란색탑골공원1952년 10월 10일KOMSEP



한국은행은 100원권, 500원권, 1000원권 지폐를 발행했다. 1950년에 발행된 100원권과 1000원권은 일본 국립 인쇄국에서, 1952년에 발행된 500원권과 1000원권은 한국조폐공사에서 인쇄했다. 500원권과 1000원권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초상이 사용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민주당이승만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를 비판하며, 전쟁으로 인한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경제난에 대한 책임 문제를 제기했다.

3. 2. 동전

이 기간 동안 대한민국에서는 동전이 발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의 1 센 동전이 1953년 2월까지 소액 거래에 계속 사용되었다.[2] 대한민국은 결국 1959년에 최초의 유통용 동전을 도입하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ables of modern monetary history: Asia http://users.erols.c[...] Currency Boards and Dollarization 2006-12-07
[2] 웹사이트 https://www.bok.or.k[...] 2023-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